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네스코지질공원 단양의 지질학적 보물 찾기 여행 2탄

by 경운 2025. 4. 9.
728x90

안녕하세요, 지질학 애호가 여러분! 충북 단양의 충상단층을 심층 탐구하는 시리즈의 두 번째 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충상단층은 중생대 반송층과 고생대 영흥층이 단층을 경계로 만나는 독특한 지질 명소로, 단양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될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장소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시기의 영흥층(Ordovician Yeongheung Fm)을 중심으로 지질, 기후, 동식물을 알아보겠습니다. 

2편: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영흥층(Ordovician Yeongheung Fm)의 특징 - 지질시대, 기후, 동식물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영흥층: 생명의 대폭발

충상단층의 오른쪽에 위치한 영흥층(Ordovician Yeongheung Fm)은 약 4억 8500만 년에서 4억 4300만 년 전,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시기에 형성된 석회암(Limestone) 지층입니다. 오르도비스기는 생명 진화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생명의 대폭발’이라 불리는 캄브리아기 직후에 이어지는 시기입니다. 영흥층은 주로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당시 이 지역이 얕은 바다 환경이었음을 나타냅니다.

단양 충상단층의 영흥층은 고생대 해양 생태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 지층은 약 4억 년 전의 바다를 생생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르도비스기 시기의 지질 환경

오르도비스기 시기 한반도 지역은 고대 대륙인 남중국판(South China Plate)에 속해 있었습니다. 영흥층이 형성될 당시 이 지역은 따뜻한 얕은 바다로 덮여 있었고, 석회암은 주로 산호초와 해양 생물의 잔해가 퇴적되어 형성되었습니다.

석회암은 탄산칼슘(CaCO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당시 바다에서 번성하던 생물들이 만들어낸 결과물입니다. 영흥층의 석회암은 층리 구조가 뚜렷하며, 화석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고생대 해양 생태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영흥층
왼쪽(중생대 반송층)과 오른쪽(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영흥층)의 경계가 다른 신기한 지형이다.

오르도비스기 시기의 기후

오르도비스기 초기의 기후는 따뜻하고 안정적이었습니다. 지구는 온실 기후 상태였으며, 해수면이 높아 얕은 바다가 넓게 펼쳐져 있었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해양 생물의 번성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했습니다.

하지만 오르도비스기 말기에는 대규모 빙하기가 찾아오며 기후가 급격히 변화했습니다. 이 빙하기는 오르도비스기 말기 대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며, 당시 해양 생물의 약 85%가 멸종했습니다. 영흥층은 이러한 기후 변화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으며, 지층의 상부에서 멸종 사건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오르도비스기 시기의 동식물

오르도비스기는 해양 생물의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삼엽충(Trilobites), 완족류(Brachiopods), 이끼벌레(Bryozoans), 그리고 초기 산호류가 번성했습니다. 영흥층에서도 이러한 오르도비스기 해양 생물의 화석이 다수 발견되며, 특히 삼엽충과 완족류 화석이 풍부합니다.

삼엽충은 당시 해양 생태계의 주요 구성원으로, 다양한 종이 얕은 바다에서 서식했습니다. 완족류는 바다 바닥에 붙어 살며 여과 섭식을 통해 영양분을 섭취했습니다. 영흥층에서 발견되는 화석들은 당시 생물 다양성의 증가를 잘 보여줍니다.

육상 생물은 아직 본격적으로 진화하지 않았지만, 오르도비스기 말기에는 최초의 육상 식물인 조류(Algae)와 초기 육상 식물의 흔적이 발견됩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턱이 없는 초기 어류(Agnatha)가 등장하며, 척추동물의 진화가 시작됩니다. 영흥층의 화석 기록은 이러한 초기 생물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영흥층이 말해주는 이야기

영흥층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한반도의 해양 환경을 생생히 보여주는 지층입니다. 이곳에서 발견되는 화석들은 당시 생물 다양성의 증가와 멸종 사건을 기록하며, 지구 생명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오르도비스기 말기 대멸종의 흔적은 지구 환경 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현대 기후 변화 연구에도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단양 충상단층의 영흥층은 지질학적 가치를 넘어, 생명의 기원을 탐구하는 여정을 선사합니다.

728x90